본문 바로가기

공개

route 53 실습(ALB연결과 장애 조치 라우팅)

일단 route53에 대한 기본 지식은 생략하고 실습을 하겠다!~

 

실습 조건)

1.퍼블릭에 2개의 웹 서버를 alb에 연결 시켜놔서 부하분산을 위한 아키텍처를 만든다

2.퍼블릭 도메인을 route53에 연결해서 그 도메인이 ping 을 받는 상태

 

예)

실습 준비가 되었다면 

route53을 ALB 의 연결하는 실습을 진행하겠다 

 

실습1<route53을 ALB의 연결>)

자신의 호스팅 영역에 들어가서

 

레코드 생성 후 > 단순 라우팅 선택 > 단순 레코드 정의

그후 이런식으로 

자신의 원하는 ALB 를 선택하고

ALB의 DNS에 A 레코드로 연결을 선택한다(물론 그림에서는 ALB를 선택하기만 하면된다)

 

 

실습2<장애 조치 라우팅>)

Route53에서 2대의 EC2 인스턴스를 연결하여 주 대상/ 보조 대상 형태의 장애 조치 라우팅을 구성합니다

 

일단 장애 조치 라우팅을 통해 Failover 환경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상태를 확인하는 동작이 필요하다

상태 검사에 들어간다

자신이 주 대상으로 하려는 ec2(EIP있어야함)을 위와 같이 추가한다

다른 ec2도 위와 같이 설정을 해준다 (이름은 구분할 수 있게!)

 

이제 본격적으로 장애 조치 route를 사용할 때다!

 

다시 route53 에 가서

 

들간 후

 

이름을 정하고 장애 조치 레코드 정의!

 

main 부분이다!

레코드 유형에 따른 IP주소 또는 다른 값은 주 대상으로 잡았던 ec2의 ip를 입력해 주면 되고 

기본, 그리고 상태 검사할 때 본인이 주 대상으로 쓰겠다고 생각한 상태 검사를 선택

이번에는 보조 대상 부분이다

 

암튼 이렇게 하고 만들면 끝이다

 

생성을 하고 test하는 방법은 주 대상인 ec2를 종료 시키면 확실히 알 수있을 것이다

 

 

참고한 책

 

'공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cloudwatch event  (0) 2022.02.16
cloudwatch agent  (0) 2022.02.16
python 에서 raise 사용  (0) 2022.02.15
chrome 에서 개발자 도구 살펴보기  (0) 2022.02.14
HTTP request 구조  (0) 2022.0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