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69) 썸네일형 리스트형 간이 망 관리 프로토콜(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SNMP란?) snmp를 설명하기 전에 나온 배경부터 간단하게 알아보자. snmp가 나오기 이전에 사용했던 네트워크 관리 프로토콜은 ICMP 주로 사용되었다. ICMP에 대한 간단한 설명은 아래와 같다. - ICMP : 인터넷 제어 메시지 프로토콜로 네트워크 계층의 프로토콜로써 운영체제와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는 간단한 프로토콜이다. 네트워크로 연결된 각각의 호스트가 잘 작동하는지와 응답시간 등 간단한 정보를 얻을 수 있었으며 이를 이용한 프로그램 중 대표는 PING 이라는 프로그램이다. 그러나 시대가 발전하면서 네트워크는 점점 복잡해지고 방대해지면서 ICMP만으로는 네트워크 관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없게 됬다. 그래서 발전한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란 간이 망 관리 프.. KUBERNETES(UID,클러스터, 노드,파드(pod)) UID란? 클러스터의 각 오브젝트는 해당 유형의 리소스에 대하여 고유한 이름을 가지고 있다. 이름은 namespace 내에서 유일하면 된다. Namespace 는 분리하기 위한 용도와, DNS 이름이 분리되는 용도를 위해 사용한다. 모든 쿠버네티스 오브젝트는 전체 클러스터에 걸쳐 고유한 UID를 가진다. kubernetes 의 클러스터,노드 개념 위 그림처럼 클러스터는 하나의 master node와 여러 work node 들이 연결되서 하나의 클러스터라는 개념이 만들어진다. master는 쿠버네티스의 메인 기능들을 담당하는 역할이고 node는 실제 app(pod)들이 구동되기 위해 자원을 제공하는 역할이다. master 와 node는 실제 물리적인 서버 입니다(minikube 같은 경우 하나의 노드에 둘.. (Kubernetes)API 리소스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클러스터 구성 클러스터 구성 control plane (master node) -클러스터의 관리하는 역할 담당 -위 그림과 같이 scheduler,etcd,controller manager,api server 로 구성이 되어 있고 kubectl 이라는 명령어를 사용하면 api server를 통해 명령어 처리를 진행한다. master node 구성 요소 API Server 쿠버네티스 클라이언트의 요청사항을 처리하는 API 제공하고 그 상태를 저장하는 etcd를 데이터 저장소로 사용합니다. Scheduler 노드의 자원 사용자원 상태를 관리한다(cpu.mem 등등) 새로운 워크로드를 사용할 때 어디서 배포할지도 관리하는 역할이다. etcd 분산 key - value 저장소로 클러스터 상태 저장하는 공간이라 생각하면 1.e.. Azure의 아키텍처 구성요소에 대해 region -지역은 데이터센터의 모음을 나타냄(즉 한 개 이상의 데이터 센터를 보유함) BCDR(Business continuity and disaster recovery) 지역은 항상 쌍을 이룬다.(하나의 리전은 백업 용도로 쓰이기도 함) BCDR == region pair은 같은 개념 적어도 300마일 거리가 떨어져 있다. Geography 둘 이상의 영역이 포함이 됩니다. 아메리카,유럽,아시아 태평양 등으로 분류 AZ란? 가용성 영역은 Azure 지역 내 물리적으로 분리된 데이터센터이다. 각 가용성 영역은 독립된 전원, 냉각 및 네트워크를 갖춘 하나의 데이터 센터로 구성된다. 가용성 영역은 '격리 경계'된다. 한영역이 다운되어도 다른 영역은 계속 작동한다. 가용성 영역은 고속 프라이빗 광네트워크를.. 코틀린의 여러가지 클래스 종류 데이터 클래스란? 데이터 클래스는 data 키워드로 선언하며 자주 사용하는 데이터를 객체로 묶어 줍니다. 데이터 클래스는 VO클래스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합니다. data class는 객체의 데이터 사용합니다. 그리고 다양한 메소드를 자동으로 생성해주는 클래스이기도 하다. 그럼 다양한 메소드를 사용하며 data class에 대해서 공부해 보도록 하자!! equals() 함수 객체의 데이터가 같은지를 비교하는 경우에 사용됩니다 예제) data class DataClass(val name:String){} fun main() { val data1 = DataClass("limsangwoon") val data2 = DataClass("sangwoon") println("use equals : ${dat.. getter 와 setter getter와 setter get: 값을 얻는다. set: 값을 변경한다. 정말 쉽다 하하핳 하지만 그럼 코드에서는 어떻게 적용해야 하지? 하는 곤란한 상황이 올 것이다. 그럼 먼저 간단한 생성자를 생성해 보자! 간단한 예시 생성자 public class User{ String name; int age; String hobby; //생성자는 class의 이름과 동일해야한다. public User(String _name, int _age, String _hobby) { this.name = _name; //this는 클래스를 가르킨다!! this.age = _age; this.hobby = _hobby; } // 객체를 만들어줄 클래스라는 툴을 만들었다!! public static void main(Str.. 코틀린(상속과 오버라이딩) 상속이란? 클래스를 선언할 때 다른 클래스를 참조해서 선언하는 것을 상속이라고 한다. open class Super{ //상위 클래스 } class Sub:Super(){ //하위 클래스 } 상위 클래스를 지정하려면 class 앞에 open을 써줘야한다. 그리고 상위 클래스를 상속받은 하위 클래스의 생성자에서는 상위 클래스의 생성자를 호출해야한다. 호출한다는 개념이기에 하위에 생성자를 생성할 필요는 없다(호출하고 파라미터로 받아주기만 하면된다). 실습) 1. 매개변수가 있는 상위 클래스의 생성자 호출 open class Super(name: String){ val name: String init { this.name = name } fun print(){ println("$name") } } class .. 이전 1 2 3 4 ··· 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