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69)
Linux::필수 개념과 명령어-편리한 설치를 위한 DNF DNF개념 -"rpm"명령의 패키지 의존성 문제를 완전하게 해결됨 -인터넷을 통하여 필요한 파일을 저장소에서 자동으로 모두 다운로드 해서 설치하는 방식 -CentOS 7은 YUM, CentoOS 8은 YUM이 개선된 DNF명령어 사용 -실제로 rpm 패키지가 없어도 실제로 인터넷을 통해서 다운을 받음 centos파일 서버에서 다운 받음 DNF기본적인 사용법 기본 설치:dnf -y install 패키지 이름 dnf install rpm파일이름.rpm 업데이트 가능한 목록 보기: dnf check-update 업데이트: dnf update 패키지 이름 삭제: dnf remove 패키지 이름 정보 확인 : dnf info 패키지 이름 dnf 로 다운을 받는데 인터넷 어디에서 다운을 받는지에 관해 궁금할 것이다..
Linux :: 필수개념과 명령어-프로그램 설치를 위한 RPM 프로그램 설치를 위한 RPM 리눅스도 편리하게 설치해 보자 해서 나온 개념이 RPM 저기에 빨간 글씨를 봐라 패키지 이름 - 버전 - 릴리즈번호.CentOS버전,아키텍처.rpm -패키지 이름 :gzip ->패키지(프로그램)의 이름 -버전 1.9 -> 대개 3자리수로 구성. 주버전,부버전,패치버전 -릴리즈번호: 4 - >문제점을 개선할 때마다 붙여지는 번호 CentOS버전: el8 -> CentOS에서 배포할 경우에 붙여짐 (x86_64: 64비트 cpu i386~686 : 32비트 cpu src:소스 noarch:모든 cpu) 아키텍처:x86_64 -> 64비트 cpu를 의미 프로그램 설치를 위한 PRM -자주 사용하는 RPM패키지파일이름.rpm ***설치:rpm-Uvh패키지파일이름.rpm U -> (대..
Linux::필수개념과 명령어-파일의 허가권 및 소유권,링크 먼저 touch file.txt 파일 생성 후 cd 에서 ls -l -rw-r--r-- 1 root root 0 5월 26 19:11 file.txt - :파일의 유형 - 는 파일 d디렉터리를 말함 rw-r--r--: 파일 허가권 (rwx) 1: 링크 수 이 파일이 몇가지의 링크에 연결되어 있는지를 보여줌 root:파일 소유자 이름 root: 파일 소유그룹 이름 0:파일 크기 (아직 빈파일이기 때문에 당연히 크기는 0) 5월 26 19:11:생성 날짜 file.txt: 이름 파일 허가권' rw-r--r--을 3개씩 끊어서 읽음 소유자 / 그룹 / 그 외 사용자 rw- / r-- / r-- r = read w= write x = execute(실행) 2진수를 활용하여 rw- / r-- / r-- 420 4..
Linux::필수 개념과 명령어-사용자와 그룹 관리 사용자와 그룹(1) 리눅스는 다중 사용자 시스템이다 (서버이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root라는 이름을 가진 수퍼유저가 있으며(모든 권한이 있는) 모든 사용자를 하나 이상의 그룹에 소속되어 있음 사용자는vi /etc/passwd에 정의되어 있음(파일 안에 사용자의 내용이 있음) 사용자 이름: 암호: 사용자ID:사용자가 소속된 그룹 ID:전체 이름: 홈 디렉터리:기본 셸 root : x (다른 곳에 저장되어 있음) ~~ 이번에는 vi /etc/shadow로 아까 x로 떠있었던 암호를 알 수 있다. gedit /etc/passwd & 해서 root:x:0:0:root:/root:/bin/bas 을 봐보자 gedit /etc/group & root:x:0: 을 함께 봐보자 즉 group에서 root:x:0: 그..
Linux::필수 개념과 명령어- 리눅스 기본 명령어 리눅스 기본 명령어 ls: windows의 "dir"과 같은 역할로, 해당 디렉터리에 있는 파일의 목록을 보여준다 예) #ls /etc/sysconfig 파란색은 디렉터리,하얀색 파일 ls -l 파일을 더 자세하게 볼 수 있다. -으로 시작하는 경우 = 파일 d으로 시작하는 경우 = 디렉터리 자세하게 알기 위해서는 ls /etc/sysconfig/ 이런식으로 (디렉터리)경로를 선택해주어 거기에 있는 파일을 알 수 있도록 한다. ls -a는 숨겨진 파일을 알 수 있다 리눅스에서는 숨겨진 파일은 제목 앞에 .를 붙이고 있다 ls -al같은 경우에는 파일의 속성을 더 잘 알려주면서 숨김 파일 또한 그렇게 보여준다는 것이다 cd: 디렉터리를 이동 #cd ../etc/sysconfig -> (현재 디렉터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