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개

AWS ECS 컨테이너 서비스 구축(2)

로드벨런서를 연결해 Fargate 의 부하분산을 해주는 실습을 진행해보겠다.

 

일단 AWS 자원들과 함께 사용을 하려면  서비스 단위로 운영을 해야한다고 했다 

 

그리고 이 실습을 진행하기 전에 AWS ECS 컨테이너 서비스 구축(1) 에서 클러스터와 컨테이너를 만들어 놔야한다

그래야 실습이 가능하다

 

실습 시작)

 

일단 target group 은 그냥 같은 vpc만 선택하고 하나 만들어 준 뒤에 ALB를 생성한다(이유는 쓸모가 없음!)

네트워크 매핑을 보면 무조건 클러스터의 vpc값을 매핑해줘야한다

 

이런식으로 limtest/Public 이름이 나와있을 것이다

 

보안 그룹은

이런식으로 인바운드가 http 80이면 된다

연결해주고 target group 도 자신이 그냥 임시로 만든 target group을 넣어준다

 

로드 벨런서 생성 후 

 

다시 ECS cluster 부분으로 와서

자신이 ALB을 만들었을 때 사용했던 vpc 를 제공해준 cluster에 서비스 > 생성 

 

ec2 말고 이런 fargate 와 

작업 정의에서 선택된 ECSjob1은 나의 전 블로그에서 만든 container이다

클러스터는 본인 일 것이고

서비스이름은 말 그대로 지금 정의하는 서비스의 이름을 정의해 준다

작업 개수는 1개로 설정을 해둬야 container 1대가 default 값으로 뜬다

 

배포방식은 롤링을 선택해 준다

 

 

그리고 네트워크 구성은

자신의 클러스터의 vpc를 선택해주고

http 80 을 inbound할 수 있는 보안 그룹을 선택해 준다

 

이제 자신이 만든 ALB을 선택해주고

선택해준 뒤에

이런식으로 ELB의 Targetgroup을 만들어준다 

이런 이유 때문에 내가 아까 안 만들어도 된다고 한 것이다

 

 

Auto Scaling 은 넘어가 일단 실행을 시켜서 기다려 보도록 하자

 

 

 

 

그리고 서비스 업데이트로 들어가

다음으로 넘어가 Auto Scaling 설정을 지정해 보자

이런식으로 최소, 원하는 , 최대를 정하고 IAM은 저기에서 제공해 주는 IAM 을 쓰거나 본인이 만들어 써도 된다 이번 실습에서는 뭘 써도 문제가 되지 않는다

 

확인하고 검토할 때 기본적으로 몇개를 보여줄 것이냐 물어보는 작업 개수가 Auto scaling 에 맞춰져서 변한 것을 볼 수 있다

 

 

이제 ALB로 들어가 잘 작동하고 있는지 확인해 보자

 

DNS를 선택해서 

 

3~4초 간의 시간이 걸리기는 하지만 

alb의 DNS로 잘 뜨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렇게 파게이트를 통해 2가지의 실습을 하였다 

아직 너무 부족한 부분이 많이 있지만 하나하나 더 알아가면 부족한 부분이 금방 채워질 것이라 믿는다

'공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docker image 압축해보기  (0) 2022.02.24
AWS ECS 컨테이너 서비스 구축(1)  (0) 2022.02.23
ECS  (0) 2022.02.23
DynamoDB개념  (0) 2022.02.23
KMS란  (1) 2022.0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