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개

(34)
Linux::필수 개념과 명령어-사용자와 그룹 관리 사용자와 그룹(1) 리눅스는 다중 사용자 시스템이다 (서버이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root라는 이름을 가진 수퍼유저가 있으며(모든 권한이 있는) 모든 사용자를 하나 이상의 그룹에 소속되어 있음 사용자는vi /etc/passwd에 정의되어 있음(파일 안에 사용자의 내용이 있음) 사용자 이름: 암호: 사용자ID:사용자가 소속된 그룹 ID:전체 이름: 홈 디렉터리:기본 셸 root : x (다른 곳에 저장되어 있음) ~~ 이번에는 vi /etc/shadow로 아까 x로 떠있었던 암호를 알 수 있다. gedit /etc/passwd & 해서 root:x:0:0:root:/root:/bin/bas 을 봐보자 gedit /etc/group & root:x:0: 을 함께 봐보자 즉 group에서 root:x:0: 그..
Linux::필수 개념과 명령어- 리눅스 기본 명령어 리눅스 기본 명령어 ls: windows의 "dir"과 같은 역할로, 해당 디렉터리에 있는 파일의 목록을 보여준다 예) #ls /etc/sysconfig 파란색은 디렉터리,하얀색 파일 ls -l 파일을 더 자세하게 볼 수 있다. -으로 시작하는 경우 = 파일 d으로 시작하는 경우 = 디렉터리 자세하게 알기 위해서는 ls /etc/sysconfig/ 이런식으로 (디렉터리)경로를 선택해주어 거기에 있는 파일을 알 수 있도록 한다. ls -a는 숨겨진 파일을 알 수 있다 리눅스에서는 숨겨진 파일은 제목 앞에 .를 붙이고 있다 ls -al같은 경우에는 파일의 속성을 더 잘 알려주면서 숨김 파일 또한 그렇게 보여준다는 것이다 cd: 디렉터리를 이동 #cd ../etc/sysconfig -> (현재 디렉터리) "...